시사 * 경제

[스크랩] 자산 디플레와 금값

wisstark 2015. 9. 22. 21:54

 저는 현재 주식과 부동산이 하락하는 자산 디플레 시기로 들어가고 있다고 보는 사람입니다.

즉, 또 하나의 거대한 금융위기가 시작되고 있다고 봅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금융위기와 금융붕괴는 다른 용어란 것입니다.

금융붕괴는 금융 시스템이 붕괴되는 것으로 보통은 초인플레가 생겨 돈의 휴지화가 진행되는 식으로 결말을 맺습니다.

우리가 금값이 치솟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은 금융붕괴를 염두에 둔 말이고요..

금융위기는 금융시스템은 이상 없고 경제가 침체 혹은 공황까지 초래되는 것으로 주식, 부동산, 금 모두 하락합니다.


 물론 이번 금융위기를 거쳐서 그 다음은 금융붕괴로 간다는 것에 저도 동의합니다.

아마도 그 전환점은 QE4 의 시작이 될 것 같고...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지금부터 QE4 시작 사이의 자산 디플레 구간에 대해서 입니다.

이 구간에선 주식, 부동산은 하락하고...   회사채도 하락할 것 같네요.  기업 부도가 많을 테니..

국채는 상승하고(연준이 양몰이할 것이 뻔하므로..)  금도 떨어지고(달러에 대해)..   즉,  현금이 왕인 시기입니다.

과거 한국 IMF 시절이나   2008년 금융위기를 떠올리시면...  

다만 그때보다 강도가 더 세진다는 데,   아직 실감이 오질 않네요..


 이번 금융위기에도 금이 하락(원화가 아니고 달러에 대해)할 수 있는데...  

물론 일부 금융붕괴를 알고 있는 개인이나 국가에서 열심히 모으고는 있습니다마는...

금은 인류가 과거부터 지금까지 채굴한 전체양의 90%를 현재에도 인류가 보유중인 광물입니다.

그래서 현재 생산원가 미만이라던지 혹은 선물거래소에 재고금이 모자란다고 해도

경제가 공황수준으로 나빠지면  수 많은 기업도산과  개인의 실직, 감봉, 폐업.. 등등으로 생계에

곤란이 생기면 금융붕괴를 알건 모르건 간에 집에 있던 금을 팔려고 시장에 쏟아냅니다.

이런 시기에는 광산에서 채굴하는 양보다 이런 보관중이거나 재활용 금의 양이 더 많아집니다..

과거 한국의 금 모으기 운동을 생각해 보세요.  

장롱속 금이 얼마나 많았던지 그 당시 한국땜에 국제 금값이 일시적으로 20%(?) 정도 떨어졌었어요.

결국 여유 있는 사람만이 금을 끝까지 지킬수 있답니다.


 그럼 이런 자산 디플레의 기간이 얼마나 갈 지를 상상해 본다면

1. 뉴스와 연준이 수년간 금리 인상한다고 뻥치다가 올리는 시늉도 없이 QE4를 할려면 뭔가 그럴만한 이유가....

       주식 하락하고..   부동산 하락하고...   개인 파산, 기업 부도 늘어나고...   

       우리가 제발 살려달라고 애원할 지경이 되어야  자신이 구원자마냥 그 때에 나설 겁니다.

       그래야 제라한 명분도 생기고 나중에 초인플레가 오더라도 자신들은 최선을 다했노라고 말할 수 있잖아요..


2. 올 봄에 유럽 국채들이 - 금리까지 간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유럽보다 더 안전한 미국채가

        - 금리까지 못 갈 이유가 없다는 말도 있습니다.  현재 미국채 10년물이 2%를 조금 넘습니다.

         이것이 - 금리까지 갈려면 세상에 어떤 일들이 벌어져야 할까요..

        

3. 짐 로저스는 많은 혼란이 오고 있다면서 1-2년 간은 달러를 많이 갖고 있다가 달러에 거품이 생기면

          그 때 금으로 바꾼다고 했습니다.

          (금값에 대한 반대 의견으로  마크 파버는 올해에 금이 30% 오른다고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QE4를 시작하게 되면 맨 먼저 오른는 품목은  하락한 순서와 같은

       금, 농산물, 원자재  >   주식  >   부동산    이 될 듯 싶고요...

 아무튼 금은 디플레 어느 쯤에 시스템 붕괴를 눈치채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면 오를 걸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는 QE4를 시작해서 금, 농산물, 원자재가 오르기 시작하면 그때서야 오르지 않을까요?

올리자 마자 얼마안있어 끝일 것 같기도 하고...   안 올리더라도 곧 끝일 수도 있고...


 한국에 대해선 너무나 안좋은 시나리오만 있어서 말하기가 그러네요.

딱 하나 좋은 일은 남북 통일 되는 것이 장래를 위해서 아주아주 좋답니다.


 이상으로 자산 디플레에 대해 전쟁이나 갑작스런 충격이 없다는 걸 전제로 상상해본 추론이고요,   .  

결과에 대한 책임은 못 지므로  판단은 각자가 알아서 하십시요.


(추신 ; 금융위기와 금융붕괴를 돈의 가치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한쪽 극과 정반대극의 현상이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즉 우리는  한 쪽 극한까지 갔다가 반대편 극으로 가게 됩니다....)

출처 : 달러와 금 관련 경제소식들
글쓴이 : thmanee2 원글보기
메모 :